top of page
  • Instagram
  • Facebook
  • Youtube
405651.png

Solution

지속가능한 축산업을 위한 청운바이오텍의 발효 사료 솔루션

TMF 사료란 무엇인가요?

              TMF (Total Mixed Fermentation) 사료는 국내산 조사료, 농업 부산물, 곡물 부산 원료 등을 혼합한 후, 특화된 발효 공정을 통해 가축에게 필요한 영양소를 균형 있게 제공합니다. 단순 혼합 사료가 아닌, 발효 공정까지 거친 완성형 사료로서, 가축의 소화 효율과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청운바이오텍의 핵심 기술입니다.

TMF 사료의 핵심 장점

섬유질 저분자화 → 소화 흡수율 증가

유익 미생물 강화 → 장 건강 개선, 면역력 상승

발효 처리 → 냄새 저감, 장기 보관 가능

청운바이오텍의 생산공정

1
​복합미생물 배양공정
복합미생물 배양
부산물 확보
농후사료(부산물) 배합
조사료 투입

특허 복합미생물

버섯배지, 주정박, 미강, 볏짚 등

첨가제 및 부산물

저비용 고성능 건초투입

2
발효 배합공정
Asset 18.png
Asset 19.png
Asset 20.png
Asset 21.png
미생물 접종

미생물 분해

배합 발효

1시간 균질 배합 발효

조사료 절삭

표준규격 절삭

포장기 이송

자동화 시스템

3
가공 포장공정
Asset 22.png
압축 포장

자동 포장기

포장 발효

밀봉상태 10일 이상 발효

장기 저장

6개월 이상 품질보존 가능

제품 섭취

생산성 15%▲, 원료비용 20%▼

원가 절감 생산성 증대를 동시에

대한민국은 가축 사료의 원료 95%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국제 곡물가 변동에 따라 농가의 부담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청운바이오텍은 이 구조적 문제를 발효 기술로 해결합니다.

?

Why

​왜 TMF 사료가 경제적인가요?

국내산 원료의 품질 향상

발효를 통해 영양가가 낮았던 국산 원료의 기능성과 저장성이 향상

수입 의존도 감소

발효로 국내산 원료 활용률을 높여 사료 자급률 개선에 기여

농가 생산성 향상

젖소의 유량 증가

분뇨 악취 감소, 환경 부담 완화

반추위 건강 개선으로 사료 효율 극대화

가축의 소화 효율을 높이는 TMF 사료

TMF사료발효 공정을 통해 섬유질(셀룰로오스,헤미셀롤로오스 등)이 부분적으로 저분자화되며,
가축의 소화기관에서 소화 흡수 하기 쉬운 상태로 전환 됩니다.

특히 반추동물의 반추위에서 미생물들이 작용하기 전,
이미
섬유질이 부드럽게 처리되어 에너지 활용도가 증가합니다.
소화에 필요했던 에너지를 덜 사용하게 됨으로

유량이 늘어나거나 비육량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습니다.

TMF 사료 사용 전후 비교 차트

(전라남도 나주 영암소재 목장 3곳)

발효된 사료에는 유산균, 효모, 고초균 등 유익균이 다량 포함되어 있어 가축 장내 미생물의 균형을 개선합니다.
이는
장내 유해균 억제, 소화효소 분비 촉진, 면연력 향상 등으로 이어져 전반적인 소화 효율을 높입니다.

또한 발효 과정을 통해 젖산, 초산, 효소, 비타민B군, 아미노산 등이 생성되어
소화관 내
대사 효율과 영양 흡수율도 향상시킵니다.
젖산은 반추위의 pH를 안정시키고, 발효된 아미노산은 체내에서 빠르게 사용 됩니다.

Asset 32.png

TMF 사료와 메탄가스 감소 효과

반추동물은 반추위에서 섬유질을 분해하는 과정에서

’메탄 생성균(Methanogen)에 의해 메탄가스를 방출합니다.

하지만 발효과정을 거친 사료는 섬유소가 미리 분해되기 때문에,
반추위 내에서의 발효 속도와 유형을 조절함으로써 반추위 내 프로피온산이 많아져 수소 소비가 증가하고,
이를 통해 메탄 생성에 쓰일 수소가 줄어들어 보다
적은 메탄을 배출하게 됩니다.

TMF 사료는 영양소의 흡수율을 높이기 때문에 소화되지 않고 남아 과도하게 발효되는 사료량을 줄입니다.
이로 인해
과도한 발효 과정에서 발생하는 메탄가스량도 함께 감소 할 수 있게 됩니다.

Asset 34.png

무가치한 부산물의 자원화

청운바이오텍은 단순히 사료를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버려지던 농업 부산물에 새로운 생명을 부여합니다.

농업부산물은 무엇인가요?

농업 부산물(agricultural by-products 또는 residues)은 농산물 수확 후,

가공 또는 소비 과정에서 발생하는 식물성 잔재물로, 많은 양이 활용되지 못하고 방치되거나 폐기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농업 부산물

이미지 제공: Utsman Media

볏짚, 미강,

왕겨

옥수수류

옥수수대,

껍질, 속대

채소류

배추 겉잎,

무청, 당근 잔사

과수류

과일 껍질,

씨앗, 가지

곡 류

볏짚, 옥수수대, 식품 가공 잔재 등은 일반적으로 폐기되거나 방치되어 왔지만,
부산물을 그냥 폐기하면
메탄가스, 악취, 침출수 등 환경오염의 원인이 됩니다.
이를
발효하거나 건조해 비료나, 사료로 활영하면 탄소배출양이 감소하고, 환경에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특히 사료 원료 확보가 어려운 가뭄 지역에서는 이 기술의 가치가 더욱 을 발합니다.

Asset 37.png

TMF 사료 발효 미생물 배합 이후 밀봉 & 발효 숙성 하는 장면

무엇보다 기존에 그냥 버려지던 혹은 처리를 위해 추가적 비용을 내야했던 부산물들이
새로운 수익원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경제 활성화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지속가능한 축산업선택이 아닌 필수 입니다.

청운바이오텍의 TMF 발효 사료는 가축의 생산성을 높이고,
환경 부담을 줄이며, 사료의 지급률을 향상시키는 다층적인 해답을 제시합니다.

저비용·고휴율의 국내산 자원의 활용,
미생물 기반의 발효 기술, 그리고 온실가스 감축 효과까지,

이 모든 요소가 결합된 TMF 사료는 단순한 대안이 아닌,
 기후 위기와 식량 안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핵심 전략 입니다. 

청운바이오텍은 앞으로도 국내외 농가와 함께, 보다 지속 가능하고

자립 가능한 축산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기술과 현장의 연결을 이어가겠습니다.

청운바이오텍 로고2
청운바이오텍 로고3

상호명 : 주식회사 청운바이오텍 | 대표자 : 이은성 | 사업자등록번호 : 804-81-03015

주소 : 광주광역시 북구 동문대로 50, 동강대학교 산학협력관 204호 | 개인정보보호책임자 : 이은성
E-mail : cwbiotech7@gmail.com

Copyrights © 2025 by CHUNG WOON BIOTECH.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